급여명세서를 살펴보면
4대 보험 항목으로 매월 일정 금액이
꼬박꼬박 차감되어 빠져나가는데요. 😭
이제 막 사회에서 첫 발을 내디딘
사회초년생들은
‘4대 보험’에 대해 들어는 봤지만
자세히 모르는 경우가 많을 거 같아요.
오늘은 직장인 4대 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
4대 보험이 필요한 이유는?
법적으로 근로계약을 했다면
아르바이트, 인턴, 비정규직, 정규직 관계없이
4대 보험 가입대상자에 해당해요. 😃
우리나라 4대 보험은
정부의 공적 연금제도 국민연금,
의료 분야 사회보장제도 국민건강보험,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한 고용보험,
산업 재해 근로자를 위한 산재보험이 있어요.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내는 보험료를 재원으로
질병, 노령, 사망, 장애 등에 의해
소득 중단 또는 상실하면
급여로 지급하는 제도에요.
국민건강보험은
부상, 질병으로 인한 고액의 치료비가
가계에 부담이 되는 것을 막고자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하는 제도에요.
고용보험제도는
구직자의 직업 능력 향상 및 재취업 촉진,
근로자의 고용안정,
실직자의 생활 안정 등을 위해
마련한 사회보장 보험이에요.
산재보험 제도는
산재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국가가 책임지는 의무 보험으로
사업주에게 보험료를 징수하여
필요시 산재 근로자에게
보상해 주는 제도랍니다. 🙏
직장인 4대 보험
근로자 부담 비율
2020년에는 4대 보험 근로자 부담 비율이
기준 월 소득액 기준으로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335%
장기 요양 보험(건강보험료 기준) 10.25%,
고용보험(실업급여 기준) 0.8%으로 변경됐어요.
4대 보험료 모의계산
4대 보험료는
4대 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제공하는
모의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하게 계산할 수 있답니다! 😲
URL : https://www.4insure.or.kr/ins4/ptl/data/calc/forwardInsuFeeMockCalcRenewal.do#this
4대보험료 모의계산 -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건강보험조회목록으로 건강보험료 및 장기요양보험료,보험료율,근로자,사업주 에 대한 표 구분 기준액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보수월액 6.67% 3.335% 3.335%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 10.25% 가입자 부담 50% 사업주 부담 50% 예) 보수월액이 1,400,000원일 때, 계산방법(2020년 기준)✔직장가입자 본인 부담금(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 51,470원 ㆍ건강보험료 : 1,400,000(보수월액) x 3.335% = 46
www.4insure.or.kr
4대 보험 가입 확인 방법
직장에 다니고 있다면
4대 보험이 제대로 가입되었는지
확인은 꼭 필요하겠죠? 🧐
4대 보험 정보연계센터 사이트에서
4대 보험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요.
URL : https://www.4insure.or.kr/ins4/ptl/Main.do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
또한 이 사이트에서
신용카드를 만들거나, 은행에서 대출 등
금융 업무를 처리할 때, 꼭 필요한 서류인
4대 보험 가입 내역 확인서도
발급받을 수 있어요! 👍
지금까지 직장인 4대 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사회초년생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모두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YOLO LIFE > 신입사원 생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꿀팁] 직장인 주목! 일할 때 도움 되는 유용한 무료 프로그램 추천 (0) | 2020.03.17 |
---|---|
[직장 정보] 주말에 읽으면 좋은 직장인 책 추천! (0) | 2020.03.10 |
[직장 정보] 직장인 증후군! 회사 가기 싫은 직장인이 겪는 마음의 병은? (0) | 2020.02.25 |
[직장 꿀팁] 회사 생활 노하우! 직장에서 잘 보이는 방법은? (0) | 2020.02.18 |
[직장 정보] 직장인 트렌드, 잡호핑족이란? (0) | 2020.02.11 |